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오늘은 법인인감증명서 무인발급기에 대한 내용을 포스팅할까 합니다.
법인인감증명서란 법인도장이 등록되어있는 것임을 증명하기 위한 서류로
법인명, 대표자, 사업자등록번호, 주소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인감증명서는 대체적으로 인터넷 발급이 불가능한 서류입니다.
(단, 인터넷으로는 발급 예약만 가능, 직접 수령해야 함)
내국인의 경우엔 시,군,구,읍,면,동 모든 자치단체에서
발급 가능하니 이를 체크해놓으시면 유익할 것입니다.
직접 등기소 또는 종합민원실에 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지만
법인인감증명서 무인발급기를 이용한다면
줄서서 기다릴 필요 없이 빠르게 발급 가능하답니다.
이런 법인인감증명서 무인발급기를 이용하기 위해
알아야할 사항들을 간단히 정리했습니다.
1. 법인인감증명서 무인발급기 위치
위치를 알아보기 위해서
대법원 인터넷등기소 홈페이지에 방문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음과 같이 네이버 또는 다음과 같은 포털사이트에서
"대법원 인터넷등기소"를 검색하면 바로 대표홈페이지에 접속 가능합니다.
인터넷등기소 대표 홈페이지입니다.
위 홈페이지에서 법인인감증명서 무인발급기 위치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서비스 소개"를 클릭하시면 다음과 같은 메뉴가 펼쳐질 것입니다.
펼쳐진 메뉴에서 좌측 하단에 보시면
전국 등기소 안내라는 대제목이 있습니다.
그 아래 소분류로 등기소찾기, 무인발급기위치가 나와있는데
무인발급기 위치를 클릭해보셔서 어디에 발급기가 있는지 확인해봅시다.
발급기 위치에 대한 설명입니다.
법인 인감증명서 무인발급기는 등기소 외 일부시청, 구청에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있다니
법인이 위치한 곳에서 전화로 시청 또는 구청에 전화해보심이 좋을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민원24 무인민원발급 안내 바로가기"를 클릭하시면
엑셀파일로 정리된 무인발급기 위치가 나오니
법인과 가장 가까운 곳을 찾아놓으시면 앞으로 이용하기 편하겠죠?
2. 법인인감증명서 무인발급기 이용을 위한 준비물
법인인감증명서를 발급받기 위해선 맨몸으로 가서는 절대 안됩니다.
챙겨가야 할 준비물이 있는데요.
이 중에서 하나라도 준비가 안돼있다면 빈손으로 집에 돌아가야합니다.
일단 첫번째로는 수수료입니다.
증명서 발급시 필수적으로 필요한 것이죠.
발급받으러 왔다가 단돈 1000원이 없어서 돌아간다면
굉장히 분하고 억울하겠죠.. 땅파서 나오는 돈도 아니구요.
특이사항은 창구 이용시보다 자동발급기 이용시 200원 더 저렴하다는 것이죠.
빠르게 발급 가능하고 가격도 저렴하니 이득이죠?
두번째로는 법인인감카드, 카드비밀번호입니다.
카드는 무인발급기에 삽입하여 법인정보를 불러오기 위함이고
비밀번호는 타인의 무차별적인 이용을 제한하기 위함이죠.
법인인감카드는 위와 같이 생겼습니다.
중앙에 대법원등기소 마크가 있으며
우측 상단에 일련번호가 검정색으로 표기되어있죠.
이런 법인인감카드와 발급받았을 때 설정한 비밀번호가 필요합니다.
세번째로는 운영시간입니다.
9시~6시 운영시간입니다.
무인발급기라고 24시간 이용가능한 게 아니더군요.
위 사항 주의하시고 법인인감증명서 무인발급기 이용할 때
유익하게 이용하셨으면 좋겠네요.
이상으로 포스팅 마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