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현리입니다.
오늘 포스팅 할 내용은 직장 건강보험료 계산 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직장 건강보험료는 계산기를 통해 간단하게
신고소득월액만 입력하면
계산해 주는 곳이 있답니다.
바로 국민연금공단인데요!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 접속하시어
아래로 내려보시면 "알아보기"라는 곳에
"4대보험 계산기"라는 항목이 있습니다.
연금/보험/건강/산재 보험을 단순 신고소득월액만 입력한다면
단번에 계산해주는 곳이기 때문에
매우 간편한 기능입니다.
클릭해보시면 계산기가 뜰 것입니다.
다음과 같은 계산기 페이지가 뜨는데요.
빨간색으로 표시해 둔 "국민건강보험 계산"을 클릭하시면
해당 계산기로 이동합니다.
일단 클릭하셔서 확인해볼까요?
국민건강보험 계산기 페이지입니다.
여기서 직장 건강보험료 계산은 자동으로 됩니다.
그 이유는 보험료율에 근로자 보험료가 계산되어
신고소득월액에 따라서 계산되기 때문입니다.
2017년 건강보험료율은 2016년의 값이 동결되었으므로
위에 나와있는 근로자 보험료율을 적용하면
올바른 값이 나올 것입니다.
직장 건강보험료 계산 결과값과 실제 부과된 보험료가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이 곳에서는 실제 직장 건강보험료 계산 식이 나오므로
실제 부과된 보험료 확인과
직접 계산기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기에 간편한 곳입니다.
일단 로그인을 클릭하여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하시고
"민원신청 - 개인민원"을 클릭하셔보십시오.
엄청나게 여러가지 메뉴가 나오는데
그림을 보면서 설명드리죠.
제가 빨간색으로 표시해 둔 곳을 보면
"직장보험료 개인별 조회"라는 항목이 보이시죠?
클릭해보시면 실제로 직장 건강보험료 계산된 항목이 나옵니다.
아래 화면처럼 말이죠.
위 화면처럼 상단에 직장 건강보험료 계산 방법이 나옵니다.
직장 건강보험료 계산 방법은
보수월액 X 보험료율 = 건강보험료 이며
보수월액 : (연간 총 보수)/(근무월수) = 월 평균보수 이므로
이를 감안하셔서 계산하십시오.
또한 다음과 같이 근무한 기간 동안 부과된 직장건강보험료를
"조회하기" 텝을 통해서 확인 가능합니다.
저는 잠시 1달간 아르바이트 개념으로 일 한 적이 있는데요.
직장 건강보험료가 부과되어 뜨더라구요.
저 곳에 나와있는 소득을 국민연금공단의 계산기를 통해
입력해 보았더니 동일한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상으로 포스팅 마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