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현리입니다.
오늘 포스팅 할 내용은
주차위반 조회 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입니다.
실생활에서 급하게 차를 주차하다 보면
주차장이 아닌 도로변이나 주차금지구역에
본의 아니게 차를 대서
주차위반을 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주차위반을 하면
"과태료"라는 벌금이 부과되는데요.
"범칙금"과는 다르게 벌점은 부과되지 않으나
일단은 요금을 내야합니다.
주차위반 과태료 요금 금액은
상황과 장소에 따라 다른데요.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요금이 부과되며
차량의 무게라든지 주차 장소에 따라서 요금은 상이합니다.
그렇다면 이처럼
주차위반을 함으로써 나에게 부과된
주차위반 과태료 조회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제가 하는 방법을 따라하시면
5분 안에 주차위반 조회를 할 수 있습니다.
단, 본인의 공인인증서가 필요하다는 점. 유의해주세요.
일단 위택스 홈페이지에 들어갑시다.
위택스는 각종 지방세를 인터넷으로 납부하는 곳으로
수도세, 환경개선부담금 등 지방세를 담당합니다.
주차위반을 하면 나오는 과태료는
"지방세 외 수입"으로 분류되는데요.
이 요금을 납부하기 위한 홈페이지 이므로
네이버 또는 다음 같은 포털사이트에서
"위택스" 라고 검색하면 나오는 공식 홈페이지에
접속해봅시다.
위택스 공식 홈페이지 대표화면입니다.
다양한 세금 납부에 대한 화면이 보이죠?
이 곳에서 납부하는 세금은 거의 다
우편으로 고지서가 날라오는 요금들입니다.
저희가 찾는 주차위반 조회를 위해서는
"납부하기" 목록을 확인해야 합니다.
"납부하기" 위에 마우스를 올리면
아래 그림과 같은 항목이 펼쳐지는데
그림을 보며 설명드리죠.
납부하기의 하위 항목이 펼쳐집니다.
이 곳에서 저희는 "지방세 외 수입"을 주목해야 합니다.
주차위반 과태료는 지방세로 부과되는 게 아니라
주차위반으로 인한 과태료이므로
지방세 외 수입에 포함되는 사항입니다.
전자번호 조회·납부 -> 지방세외수입
으로 들어가주세요.
지방세 외 수입에 들어가면 보이는 화면입니다.
지방세 외 수입을 조회하기 위한
여러가지 방법이 눈에 띄는데요.
주차위반 조회를 위해서는 두 가지 방법이
보편적으로 이용됩니다.
바로 "전자납부번호 조회", "차량번호 조회" 두 가지인데요.
아래 설명에 자세한 사항이 나와있습니다.
일단 차량번호 조회는
자신의 차량 번호판의 숫자와 글자로
주차위반을 조회하는 방법입니다.
일반적으로 가장 간편한 방법이죠.
전자납부번호 조회 방법은
집으로 날라온 고지서에 나와있는
전자 납부 번호를 입력하여 조회하는 방법입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고지서를 챙겨서 다니지 않으므로
차량번호 조회 방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지방세외수입 화면에서 "차량번호 조회"를 눌러주세요.
지방세외수입 화면에서 "차량번호 조회"를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검색창이 뜹니다.
자신의 차량번호를 입력해야 하는데요.
(지역)OO허 XXXX 라든지 OO허 XXXX와 같은
차 번호를 입력하시고
검색을 눌러주십쇼.
검색을 클릭한 뒤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하면
주차위반 조회 끝입니다.
위 방법은 공인인증서 로그인이 필요하므로
본인 이외에 사람이 납부해 주는 것은 힘들기 때문에
뭐니뭐니 해도 본인이 직접 하는 것이 좋겠죠?
하지만 무엇보다 주차위반을 하지 않는 것이 가장 좋겠죠...
이상 주차위반 조회 방법 중
과태료 조회를 통해 알아보는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다음에도 좋은 정보 가지고 찾아오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