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현리입니다.
오늘은 개인범용공인인증서 발급 방법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개인범용공인인증서는 모든 금융 관련업무나
개인정보 인증 업무 절차에 꼭 필요한
오프라인에서 주민등록증같은
신분확인용 수단인데요!
이 인증서가 없다면
거의 모든 온라인 업무를 하기 힘들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발급을 원하시는 분이 많은데
과연 어떻게 개인범용공인인증서를 발급받아야하는지
또한 비용과 필요조건 등을
따라할 수 있게 직접 보여드리며
손쉽게 하는 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보통은 은행업무를 보시는 분들께서는
해당은행의 공인인증센터 항목에 들어가서
개인범용공인인증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우리은행 계좌가 있으면
우리은행 공인인증센터,
국민은행 계좌가 있으면
국민은행 공인인증센터에 들어가시어
4400원의 이용료를 내고
개인범용공인인증서를 발급받을 수 있답니다.
하지만 제가 알려드릴 방법은
모두가 공통으로 이용할 수 있는
국가 기관인 "한국정보인증" 에서
발급받는 방법입니다.
"한국정보인증" 홈페이지에 들어가야합니다.
공인인증에 관한 일체를 이 곳에서 담당하고 있으니
발급, 갱신, 재발급, 폐기 등의 업무 또한
이 곳에서 봐야겠죠?
네이버, 다음같은 포털사이트에서
"한국정보인증" 을 검색하여서
공식 홈페이지로 들어가봅시다!
한국정보인증 공식 홈페이지입니다.
지금 보시는 화면은 대표 화면인데요!
개인범용공인인증서 발급을 위해서는
좌측에 보이는 파란색 상자에
"01 공인인증서신청"에 있는
빨간색 네모가 보이나요?
제가 "개인"이라고 된 부분에 빨간 네모로
표시해 뒀는데요!
그 개인을 누르면 개인범용공인인증서 발급을 위한
화면으로 넘어갑니다.
개인 인증서에도 여러 종류가 있군요.
범용(개인)/보건복지전용/국세청 홈텍스 용(개인)
3가지 중에서 저희가 필요한 것은
개인범용공인인증서이므로
범용(개인)의 그림을 누릅시다!!
공인인증서가 필요한 모든 거래에서 사용 가능하다니
정말로 쓸모가 많겠죠?
그렇다면 다음 그림을 보며 설명드리죠!
개인범용공인인증서 발급을 위해서는
4400원의 비용이 듭니다.
이 비용은 은행을 통한
공인인증서 발급으로 드는 비용과 같군요.
또한 기간도 12개월(1년)으로
은행공인인증서와 같다는 사실!!!
이 사항들을 확인하셨다면
"바로신청"을 누르셔서 다음 업무를
진행해야겠죠??
그림을 보며 설명드리겠습니다.
약관동의에 관한 내용입니다.
상단에 "모두동의"를 누른 뒤
"신청하기"를 눌러주세요.
국가공식기관이므로 개인정보를
이상한 곳에 넘긴다거나 남용하지 않을 것입니다.
안심하시고 동의하시길!!
특이사항이 있었습니다.
바로 01번은 개인정보를 입력하고
02번 서류제출방법에 관한 내용입니다.
서류를 직접 방문하여 제출해야 한다는데요.
1.한국정보인증 본사에 방문제출
2.기업은행 지점 제출
3.우체국 지점 제출
3가지 방법입니다.
서류는 아까전에 무심코 지나친 부분인데요.
아래에 제출서류 관련사항을 기재해뒀습니다.
아래 그림을 보시죠.
제출서류 안내사항이 숨겨져있었습니다.
공인인증서비스 신청서 1부에 날인을 찍어
식별가능한 신분증을 가지고
우체국 또는 기업은행 지점을 방문하여
본인이 직접! 제출해야한다는 불편함이...
그렇다면 공인인증서비스 신청서는 어디서 뽑냐구요?
저도 찾는데 한참 걸렸습니다.
아래 글씨를 클릭하시면 바로 이동하게
설정해뒀으니 들어가셔서
자신에게 맞는 공인인증서비스 신청서를
뽑아야겟쬬?
신청서를 제출하시면
그 안에 기재되어있는 이메일을 통해서
공인인증서 파일을 보내주시니
그 파일을 다운받아서 공인인증서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이상 한국정보인증을 통한 공인인증서 발급을 알아봤는데요!
그냥 일반 은행을 통해서 발급받는 방법이
훨~~~씬 편한 것 같다는 결론..
도움이 되셨을지는 모르겠으나
제 글을 읽고 편한 공인인증 업무를 보시기를
간절히 바라며 글을 마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