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정보

감가상각비 계산방법

현Lee 2017. 6. 29. 22:29

안녕하세요 현리입니다.

오늘은 감가상각비 계산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알아보기 전에 우선 감가삼각비가 무엇인지 알아봅시다.

감가상각비란?

기업이 사용하는 기물이나 설비 등은 해마다 소모되는데

이러한 가치의 감소분을 보전하는 절차를 감가상각비라고 합니다.

즉, 기물,설비가 제품이나 서비스 등을 생산하면서 노후한 만큼의 가치를

제품생산원가에 포함시킬 목적으로 계산한 비용입니다.

(출처 : 네이버 시사상식사전)












예를 들자면 음식점에 후라이팬이나 식칼은

고정자산이지만 사용할수록 낡아서 가치가 줄어드는 자산이죠?

이를 일부 가치가 생산물에 이전된다고 생각하여

각 기간의 비용을 할당하는 금액을 말하는거죠.






감가상각비를 계산하는 방법엔 4가지가 있습니다.

바로 정액법, 정률법, 생산량비례법, 연수합계법

4가지입니다. 

차근차근 식과 함계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참고) 네이버 사전에 나와있는

간접법과 직접법은 감가상각비 계산방법이 아닌

감가상각비 회계처리 방법에 관한 내용으로

비용으로 처리할 떄 이용하는 방식입니다.








1. 정액법

감가상각비 = (취득가액-잔존가치)/내용연수

위 식이 정액법의 기본 수식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원가(취득가액-잔존가치)가 10만원인 식칼을

10년간 쓸수 있다면

감가상각비는 1만원이 되는거죠.

정말 간단하죠???

간단하게 계산 가능해서 가장 많이 쓰이는 방식입니다.









2. 정률법

감가상각비 = (취득가액-기초자산 장부가액)*상각비율

이 방법은 기초자산 장부가액에서 일부 %를 감가상각비로 쓰는것입니다.

이 상각비율은 첫해에 가장 높고 점점 감소하므로

첫해에 가장 많은 감가상각비가 나온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상각률은 대충 ··· 4년=0.528, 5년=0.452, 6년=0.394 ··· 이구요

정률법은 현재 거의 사용을 안하는 방식입니다.









3. 생산량비례법

감가상각비 = (취득가액-잔존가치)*(당기시제생산량/추정총생산량)

생산량비례법은 예상생산량과 예상조업도를 근거로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한마디로 말하자면 얼만큼 쓸지 예상해서 그만큼 감가상각비를 계산하는 방식인데요

유형자산보다 자연자원(유전, 광산등)의 감모상각 방법에 적합한 방식입니다.











4. 연수합계법

감가상각비 = (취득가액-잔존가치)*(잔존내용연수/1+2+3+····+내용연수)

연수합계법은 원가에서 남은 내용연수는 곱하고 자산의 내용연수는 나눠주는 방법으로

이도 마찬가지로 시간이 지날수록 감가상각비는 줄어듭니다. 









이상으로 감가상각비의 계산 방법 4가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가상각법 계산 이외에도

적용대상, 신고방법 등 다양한 정보들은

차후에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아무래도 세금에 관련된 사항이라서

엄격한 규제가 있고 관할 세무서에 신고를 잘 해야하는 사항이므로

철저하게 조사한 뒤에 감가상각비를 올려야 할 것 같네요.







이상으로 간단한 포스팅을 마쳐보겠습니다.

제 글이 도움이 되셨을거라 믿고

다음에도 좋은 정보 가지고 오겠습니다!(꾸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