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시시가조회 방법
안녕하세요 현리입니다.
오늘은 공시시가조회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여러분께서 공시지가 vs 기준시가 두가지를 혼돈하셔서
공시시가라고 검색하셨을 경우가 있으실텐데요
일단 두가지에 대해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
※공시지가란?※
말 그대로 국가 공공기관에서 공시한 땅 값입니다.
건축물을 제외한 순수 땅값이란 말이죠.
공시 지가에도 두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표준공시지가"와 "개별공시지가"
표준공시지가는 국토교통부에서 지정한 공시지가입니다.
반면 개별공시지가는 지자체에서 표준공시지가를 기반으로 책정한 공시지가입니다.
※공시지가 조회 방법※
"부동산공시가격알리미" 또는 "공시지가" 라고 검색하면
가장 위에 "부동산공시가격알리미 - 국토교통부"라는 홈페이지가 뜹니다.
공시지가는 국토교통부에서 책정한 땅값이므로
국토교통부 홈페이지에 들어가야겠죠?
바로 클릭해봅시다.
국토교통부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 홈페이지입니다.
좌측 상단에 보시면
"개별 공시지가","표준지 공시지가"가 보이실 것입니다.
제가 빨간색으로 표시해 둔 곳인데요!
자신의 요구에 따라 선택하셔서 검색하시면 됩니다.
---------------------------------------------------
※기준시가란?※
말 그대로 기준이 되는 시세 가격입니다.
국가기관에서 건물 + 땅값을 묶어서
미리 시세측정을 한 값이죠.
이는 국가기관에서 세금을 책정하기 위해 산정하는 기준입니다.
그 이유는 매매값은 실거래 가격이 세금부과의 기준이 되지만
상속, 증여당시는 그 당시의 기준가격을 모릅니다.
그렇기 때문에 적정한 세금을 거두기 위해 기준시가를 이용하죠.
※기준시가 조회방법※
"국세청 홈택스" 또는 "홈택스"라고 검색합니다.
국세청에서 조회,발급 업무를 맡고 있는 홈페이지인데요.
기준시가는 세금때문에 메기는 시세라서
국세청에 관련이 있나봅니다.
기준시가를 조회할 수 있는 홈페이지이니
클릭해보시죠.
국세청 대표화면입니다.
조회/발급에 빨간 네모를 쳐놨죠?
거기에 들어가라는 말입니다ㅎㅎ
조회/발급을 눌러보시죠!
"조회/발급" 을 눌러주시면
다음 화면이 나옵니다.
수십개의 조회 관련 업무에서
저희가 할 기준시가 조회를 찾아보시면
눈이 아프죠?
제가 네모표시로 해뒀습니다!!(뿌듯)
"기타조회 - 기준시가 조회" 를 누르시면
추가로 6개의 세부 항목이 뜹니다.
여기서 자신이 필요한 기준시가를 클릭하시면 되는데요
저는 "아파트/연립주택"을 클릭해봤습니다.
"아파트/연립주택" 기준시가 조회 화면입니다.
아래쪽을 보시면 "소재지 정보 검색"이라는 란이 나오는데
저기서 1.지번으로 조회 / 2.도로명주소로 조회
이 두가지 중 하나를 고라서 조회를 해보시면 됩니다.
개인적으로는 도로면주소로 조회하는 것이 더 간편하더군요.
이상으로 공시시가조회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공시지가가 무엇인지, 기준시가가 무엇인지 알아봤고
그 방법 또한 알아봣는데
유익하셨는지요?
다음에도 좋은 정보 들고 찾아뵙겠습니다.(꾸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