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 피부양자 확인방법
안녕하세요 현리입니다.
오늘 포스팅 할 내용은
건강보험 피부양자 확인 방법입니다.
피부양자는 '피보험자가 부양하는 가족'을 뜻하는데요.
아주 쉬운 예를 들자면
제가 학생이라면
저를 키워주시는 부모님이 피보험자 이구요
제가 바로 피부양자입니다.
피부양자의 범위로는
직계존속, 직계비속. 처 3가지가 있고
형제·자매는 제외 된다고 하네요.
직계존속과 직계비속의 뜻은 링크로 걸어드릴테니
잘 모르시는 분은 들어가서 읽어보시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그렇다면 지금부터
어떤 과정을 거쳐야 건강보험 피부양자 확인이 가능한지
그림과 함께 설명드리겠습니다.
그림만 보고도 이해할 수 있으니
잘 따라하시길 바래요~
일단 네이버 또는 다음과 같은 포털사이트에
"국민건강보험공단"을 검색합시다.
이 곳은 사회보험징수, 건강검진과 같이
건강과 보험에 관련된 모든 업무를 담당하는
정부 홈페이지입니다.
다음 과정은 그림을 보고 설명드리죠.
국민건강보험공단 공식 홈페이지입니다.
건강보험 피부양자 확인 방법이 한눈에 띄지 않군요.
저희 눈에 보이지 않는 곳에 숨겨져 있는데
그 곳은 바로 상단 메뉴에 있는
"민원신청"입니다.
민원신청에 마우스를 살포시 올리면
아래 그림과 같이
숨겨진 메뉴가 펼쳐지는데요.
그림을 보며 설명드리죠.
"민원신청"에 마우스를 올리면
여러 민원 관련 내용이 보입니다.
건강보험 피부양자 확인은 한눈에 안보이네요.
하지만 "개인민원 - 자격"에 들어가면
모든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답니다.
클릭해보시죠.
클릭했더니 한 번에 안보여주고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요구하군요.
개인 정보이기 때문에 공인인증서가 필요한가 봅니다.
일단 확인을 눌러서 공인인증 로그인을 해봅시다.
다음과 같이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합시다.
이 곳에서 로그인은
피부양자 본인의 개인정보를 입력해야하고
공인인증서 또한 본인의 것으로 해야지
정확한 정보 확인이 가능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하니
아까와 다른 메뉴가 나오군요.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자격" 메뉴에 있는
"자격사항"을 클릭해봅시다.
그러면 저희가 그토록 찾던
"건강보험 피부양자 확인"이 가능하답니다.
눈물겹군요...ㅠㅠ
아래 그림을 보며 설명드리죠.
자격사항을 누르면 다음과 같이
피부양자에 관한 내용이 나옵니다.
저 같은 경우는 학생이기때문에
아버지가 직장가입자, 제가 직장피부양자로 표시됩니다.
여기서 직장가입자는 반드시 아버지가 아닐 수도 있습니다.
따로 확인서를 뽑아야 할 경우에는
공인인증서 로그인 후 뜬 메뉴에서
"자격확인서 발급"을 이용하면 발급이 가능합니다.
여기까지 건강보험 피부양자 확인방법에 대해 알아봤고
다음에도 좋은 정보 가지고 오겠습니다!